취미에 진심/요가 파이어

[요가공부] 요가 수트라 1장 12절-14절 (한국어, 영어 발음/뜻) - 요가 수련의 의미와 방법 | Yoga sutra 1.12-14

면자 2022. 5. 19. 00:12


하타요가 TTC 3주차
지난주엔 수트라 1장 1~6절을 외웠는데 이번엔 12~14절을 배우고 외운다.
1~6절은 요가의 의미에 대한 내용으로 6절에서는 citta- 생각 작용- 의식 대한 다섯가지를 말하는데,
7~11절이 그 다섯가지의 뜻을 각각 이야기한다.(바른지식, 잘못된지식, 상상, 잠, 기억)

12절부터는 요가의 수련의 의미와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번 하타요가 TTC 첫 레벨과정에서는 12-14절 까지 외우게 되었다.





1.12
अभ्यासवैराग्याअभ्यां तन्निरोधः
abhyāsa-vairāgya-ābhyāṁ tan-nirodhaḥ
아피야사 바이라 끼야삐얌 딴 니로타하
Practice and dispassion stop the modifications of the mind
끊임없는 수련과 무집착을 통해 의식의 작용이 완전히 소멸된다.

1.13
तत्र स्थितौ यत्नोऽभ्यासः
tatra sthitau yatno-‘bhyāsaḥ
땃뜨라 스티타우 얏뜨노피야사하
The efforts for the continuous maintenance of the stoppage of modifications is Practice.
명상의 경지가 끊어지지 않으려는 노력이 수련이다.


1.14
स तु दीर्घकाल नैरन्तर्य सत्कारा असेवितो दृढभूमिः
sa tu dīrghakāla nairantarya satkāra-ādara-āsevito dr̥ḍhabhūmiḥ
삿 뚜 디루카 깔라 나이란따리야 삿카라아세비또 뜨루타푸미히
When observed constantly with revere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firmly established.
수련은 오랫동안 끊임없이 주의깊고 헌신적으로 노력할 때 확고히 자리잡는다.





선생님께서, 또 선생님의 선생님께서(한주훈 선생님)
아무리 명상을 하여도 생각은 변함이 있으며 착각 일 수 있고, 믿을 수 있는 것은 몸 뿐이므로 아사나 수련을 꾸준히 해야만 한다고 한다.
명상중에서도 내 생각만에서는 답을 찾을 수 없기에 나도 공감하는 말씀이다. 이번 교육을 받으며 사실 요가의 아사나 수련뿐만아니라 모든 운동도 수련의 의미가 포함되어있다는 생각이 들고, 수련을 더욱 꾸준하고 열심히 들어야겠다는 생각과 동시에, 평생 한다면 겁나리 힘들고 긴 여정이겠다는 생각도 든다.
이 생각- 의식의 작용을 최소화하기위해… 그냥 내일도 요가를 해야겠다.

오늘도 괜찮아.

*산스크리트어 출처
https://www.yogapradipika.com/yoga-sutra-14#ixzz7TYCvrvjT
online resource of yoga philosophy and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