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수련의 기본 원칙과 마음가짐에 대한 이해로 시작한 첫날
비슷한 스타일의 하타수련을 지속해오며 꽤 익숙해진 개념도 있었고 새로운 이해도 있었다.
무엇보다 어떤 내용의 수업이 진행될지 전혀 몰랐기에 너무나 새롭게, 오랜간만에 긴 시간 집중한 시간이었다.

잊기 전에 수업 내용 기록기록. 이렇게 열심히 필기한것도 10년만인것 같다.
ㅇ 관찰과 분리주시
- 처음에 배우지 않으면 모를 수도 있는 개념
- 분리 주시 하지 않으면 요가도, 생활도 나 자신과 너무 고착화 되기 때문에 고통이 올 수 있다.
- 늘 변화하는 나의 상태를 알아차리고, 다양한 마음의 상태를 알고 조정하자
- 요가도 나에게 맞게 하면 되는 것
ㅇ 민감성
- 관찰과 지도에 꼭 필요하고 중요한 것
- 지도자로서 가르침 대상도 관찰해야하며, 수련생들의 분위기를 알아차리기 위해 중요함
- 정해진 시퀀스가 아닌 그날그날의 분위기에 따라 안내
- 먼저 나의 실력이 기반되어야 하며, 시퀀스를 짤 시간에 수련을 해야
꾸준한 수련은 정화로 이어지고 자기관리는 좋은 수업으로, 좋은 선생님으로 이어진다.
ㅇ 그라운딩 원칙 1번 기반 > 2번 반다 > 3번 확장
-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형상을 위해 고개만 따라가지 않도록
- 도입~행위~전환 과정을 같은 무게로 안내하기
ㅇ 수련자가 원래 가진 모습을 만나게 해주기
ㅇ 본성의 자비+ 현존하는 상태 --> 행복
ㅇ 호흡방법 (프라야나마)
- 우짜이 호흡 ( 적극적인 가슴호흡) 입김의 불때의 목근육을 사용하여 깊게, 들숨과 날숨의 길이가 동일한 균형으로
- 너무 세지 않고 듣기 좋은 소리를 낼수 있도록 살짝 강한 호흡
ㅇ반다(매듭)
- 안타라반다 : 골반의 방향을 내회전으로
- 우띠아나반다 : 하복부를 안쪽으로, 위로 끌어올리기
ㅇ 파탄잘리 만트라
- 경전 요가수트라를 쓰시고 나누어주신 성인 파탄잘리에게 감사를 표하는 기도문
2022.05.12 - [취미에 진심/요가 파이어] - [요가공부] 요가수트라 1장 1~6절 (한국어 발음/해석)
요게나 찌따쓰야 빠데나 밧 쨤
yogena cittasya padena vacam
말람 샤리라스야 짜 바이 땨께나
malam sarirasya ca vaidyakena
요빠까로땀 브라바람 무니남
yopakarottam pravaram muninam
빠딴잘리 쁘란 잘리 라-나또 스미
patañjalim prañjaliranato 'smi
ㅇ 실습
아도무카 슈바아사나(견상자세
차투랑가 단다(막대기_ > 차투랑가 (앙\가 : 가지)
차투랑가
마카라사나 (휴식)
부장가아사나 / 아도무카 부장가 (팔꿈치 접히는 방향으로 마주보게){
아르다 차투랑가 단다
아도무카 슈바나
비라바사나 (영웅좌)
아르다 밧다 + 파르스바 (좌우 엎드리기)
/ 수카아사나에서 좌우로 팔뻗고 엎드리기 - 파르스바 아도무카
ㅇ숙제
- 나만의 정화방법 / 고유성 생각해보기
이번에 알았는데 부동 자세에서 관찰을 지속하는 하타요가 스타일은
한국의 한주훈 선생님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한국인들만 이렇게 15분 30분씩 부장가를 수련한다고 한다. ㅋㅋㅋㅋㅋㅋ
뭔가 웃기면서도 좋음.. 영어 티칭을 연습해서 해외에서 하타요가를 가르쳐 보고싶은 꿈이 1 생겼다.

'취미에 진심 > 요가 파이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가공부] 기본지도법, 웃디아나 반다와 나울리, 이완과 기반 찾기 | 하타요가 TTC (1) | 2022.06.30 |
---|---|
[요가공부] 자아성, 드리시티, 기본 스탠딩포즈 | 하타요가 TTC 3rd Week (0) | 2022.06.29 |
[요가공부] 요가 수트라 1장 12절-14절 (한국어, 영어 발음/뜻) - 요가 수련의 의미와 방법 | Yoga sutra 1.12-14 (0) | 2022.05.19 |
[요가공부] 요가수트라 1장 1~6절 (한국어 발음/해석) (0) | 2022.05.12 |
[요가일기] 나만의 정화 방법 생각해보기 (TTC 숙제) (0) | 2022.05.04 |